Git을 기존에 쓰고는 있었지만 흐릿하게 알고 있었기에 오늘 강의는 유익하다고 넘길 참이었다.
튜터님께서 Vscode git 확장기능에 의존하면 안되고 커맨드 프롬프트를 통해 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씀하셨기에 궁금함이 생겼다. 바로 검색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git add 는 지금까지 수정한 내용을 합쳐 스테이징 영역으로 넣어주는 것이다.
git status를 통해 지금까지 스테이징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git commit을 해야 스테이징된 것이 적용이 되지만 이는 내 로컬에서만 적용된 것이고
git push를 통해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되야 비로소 온전히 적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진행하는 코드들을 찬찬히 읽어보면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았는데
특히 템플릿 속 코드에서 시선을 끄는 것은 다재다능한 라이브러리들이었다.
glightbox, aos, iostope,swiper 가 특히 화려한 기능만큼이나 눈에 띄었다.
이 각각 라이브러리를 얘기하는 건 삼천포로 빠질 것 같기에 말을 삼가지만
이들을 활용하면 좀더 괜찮은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flask에서 url_for를 통해 리다이렉트를 할 수 있는데, 처음에는 당연히 라우터 주소를 기준으로 할 줄 알았지만 함수를 기준으로 리다이렉트 되었다. 당연할줄 알았기에 오류를 접하고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
금방 고치는 오류였지만 역시 세상에 당연한 건 없다.
그리고 django에서 template을 작성하는 방법과 flask도 비슷해 코드를 짧게 할 수 있다는 것에 너무나 고마웠다.
아직 정리되지 않고 길게 나열되어 있는 코드를 보면 여전히 현기증이 난다.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3.20 (0) | 2023.03.21 |
---|---|
3월 3번째 주 (0) | 2023.03.19 |
2023.03.17 - 첫 팀플 이후 (0) | 2023.03.17 |
2023.03.17 (0) | 2023.03.17 |
2023.03.16 (0) | 2023.03.17 |